세상에 자기가 만족할만한 직장이 존재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
이름있는 좋은회사를 다녀보지는 못했지만 여러가지 직간접적으로 많이해본 경험치에 비추어보면 직장생활이 가져다주는 한계는 여러가지가 존재.. 그렇지만 자기사업이나 장사를 한다치면 직장생활 시절의 불만족스럽지만 안정적인 부분이 많이 그리워질수도..
정글에 던져진... 일에대한 성취감과 보람도 높고 성공한다면 경제적 안락함까지 취할수 있지만 높은 리스크와 항상 신경을 곤두세우고 주변을 살펴야하는 현실이 기다리고 있기도.. 월급생활은 쥐꼬리라도 들어오지만 자기사업이나 장사는 마이너스되는 상황이 생각보다 오랫동안 가는 곤란한 상황도 있기에... 직장생활과 자기사업사이에 가장큰 차이점은 역시 자기사업은 원활하게 운영되지 않으면 마이너스 개념이 자리잡고 있는점..대체로 경쟁이 치열하다는점과 이에따른 결과가 직접적으로 내게 작용한다는점.. 즉 혼자서 혹은 소규모로 대처해야된다는 부분.. 직장생활은 따로 나가는것이나 빚이 많은 상황이 아니라면 월급이 계속 나오지만 자기사업할때 잘될때는 상관없지만 내외적으로 여러가지 상황 특히 예측불허의 주변여건의 급격한 변동상황(불경기,해당사업분야의 급격한 변동을 가져오는 사회적상황이나 급작스런 정책변동등등 최근에 일본산 먹거리나 물품등에 대한 경계심은 원전사태 이전에는 전혀없던 것과 같은 상황같은 만의하나 수준으로 평상시에는 예측이 힘든것들..) 자기힘으로 해결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매우 힘들기도합니다..
일장일단이 있는것 같습니다.. 그래도 어차피 인생한번 현재 자기 직장이나 직업이 마음에 들지않으면 적당한 시기에 모험해보는것도 인생의 묘미가 아닐런지하는 생각이 들다가도..다시생각..
연구직에 있으면 아무래도 주변의 이것저것 따지지않고 몰두할수 있기에 좋은듯... 결국 삶이란 될수있는대로 단순명료하게 하고싶은것을 하는것이 ... 행복...
개인적으로 옆에서 지켜본것에 기초하면 외국기업에 다니는 여자분들이 대우나 업무배치등에서 동등하고 국내기업에 있는 오랫동안 내성화된 특유의 상하 수직문화도 적은편으로 보임..공기업은 아무래도 경제적으로 대우가 좋은편이고 분야나 기업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일반 직장생활에 비해 빡빡한 생활도 아닌것으로 보임..아무래도 중소기업에 다니면 경제적인 부분도 있지만 비전의 문제도 걸리적 거리는데 다만 자기사업을 준비한다면 중소기업에서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것도 고려해봄직.. 자기사업을 하면 최종결정권에서 사업장 빗자루질까지 모두 해야되거나 신경써야할 상황도 많기에..즉 다양한 경험은 정글에서 살아가는데 내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기도..외적인 인맥이나 다른 상황은 조금 다를수도 있지만 큰기업에 다니는것은 회사내에 있을때와 회사 밖으로 나왔을때는 달라지 포지션에따라 주변 사람들의 이해관계에따라서 태도도 달라질 수 있다는것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함..물론 매정하게 내치지는 않겠지만 회사에 소속되었을때처럼 적극적이진 않을수도 있다는 이야기.. 누구나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기에 이전에 좋았던 관계에 비추어 상대방에 감정적으로는 서운할수 있어도 일정부분 이해할수 밖에 없기도..
- 외국기업/ 공기업 순…연구직/사무직 만족도 높아
- 만족하는 이유 ‘적성에 맞는 업무’, 불만족 이유 ‘불투명한 비전과 낮은 연봉’
실제,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전국 남녀 직장인 247명을 대상으로 ‘직무 만족도’에 대해 온라인 리서치를 진행한 결과,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다고 느끼는 직장인은 38.5%로 10명중 4명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61.5%는 자신의 일에 대해 만족스러워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현재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는 여성 직장인들의 비율이 39.4%로 남성 직장인 37.8%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근무 기업별로는 △외국계 기업에 다니는 직장인들의 경우가 62.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기업 직장인들도 60.0% △대기업 47.8% 순이었다. 반면,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직무 만족도는 32.2%로 가장 낮아 외국계 기업에 비해 2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별로는 △연구직 분야가 46.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사무직(39.7%) △생산/현장직(39.1%)등의 순이였으며, 상대적으로 △영업직(36.8%)과 △서비스직(35.7%)의 경우 타 직무 분야에 대해서 직무 만족도가 비교적 낮았다.
자신의 업무에 만족하는 이유로는 △적성에 맞는 담당업무라고 응답한 직장인이 32.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회사 내 자신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 때문도 31.6%로 비교적 높았다.
이 외에 △가족적인 직장 동료와 부서 분위기가 14.7% △가능성 있는 직무의 비전 11.6%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에 △만족스러운 연봉 때문에 현재 일에 만족한다는 직장인은 9.5%에 불과했다.
반면, 자신의 직무에 불만족하는 이유로는 △낮은 연봉때문이란 응답이 36.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현재 업무에 대한 불투명한 비전 때문이란 응답도 29.6%로 높았다
이 외에 △지루하게 반복되는 업무 스타일 14.5% △적성에 맞지 않은 담당업무 11.2% △상사 및 동료와의 불화 5.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들 직장인들이 현재 직업을 갖게 된 동기에 대해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어쩔 수 없이’ 라는 응답이 33.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전공에 따라 자연스럽게 22.3% △적성과 상관없이 스펙에 맞추어서 15.4% △부모님과 주변 사람의 권유로 7.3% 등의 순이였다.
'생활정보 > 수다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녀 10명중 6명, “반드시 결혼 할 필요 없고, 결혼전 동거 해볼만하다” (0) | 2012.04.13 |
---|---|
건강한 성격 형성하기 - 미국 오클랜드 총기난사 사고 원인 따돌림 때문이라는데 (0) | 2012.04.04 |
2012년 3월 21일 드라마 시청률 - 적도의 남자 , 왕세자 옥탑방, 더킹2HEARTS (0) | 2012.03.22 |
소개팅·미팅 꼴불견 1위 “나 돋보이자고 남 험담” (0) | 2012.03.21 |
책임질 일에 발뺌하는 ‘미꾸라지형 상사’ 가장 꼴불견 (0) | 2012.03.19 |